상단영역

본문영역

충남연구원, "농가 단위 중심의 방역모니터링 시스템 구축” 제안

충남 돼지구제역의 방역 실태를 시공간 분석결과로 시각화한 ‘충남정책지도 제7호’ 발간

  • 양준석 기자 010@kukmini.com
  • 입력 2016.06.27 13:05
  • 글씨크기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충남의 차단방역시설과 농가 분포(충남연구원, 충남정책지도 제7호)

충남연구원은 충남에서 발생한 돼지구제역의 방역 실태를 시공간 분석결과로 시각화한 ‘충남정책지도 제7호’를 27일 발간했다.

이는 지난해부터 올해 4월까지 충남도가 제공한 도내 돼지구제역 및 돼지 사육농가 기초통계, 돼지사육농가의 바이러스 항체 전수조사, 백신 공급량과 접종량, 축산관련 작업장 및 차단방역시설 등을 읍면동 단위로 연계 분석한 결과다.

이번 지도 제작 책임을 맡고 있는 충남연구원 강마야 책임연구원과 최돈정 초빙책임연구원은 “2016년 기준 사료공장·가축분뇨처리시설·도축장 등 충남의 축산관련 작업장은 도로망 주변으로 총 97개소였다”며 “주로 천안시·논산시·홍성군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축산관련 작업장과 돼지구제역 발생지역 간 지리적 유사성이 있다”고 밝혔다.

또한 “충남 돼지구제역 발생농가 88호는 도내 차단방역시설로부터 3km 반경 이내에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, 3km 반경 이내의 돼지 사육농가는 411호(충남 전체의 34.2%)인 것으로 나타났다”며 “보다 효율적인 사전방역을 위해 천안시, 공주시, 당진시, 홍성군 등 돼지 사육농가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차단방역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

보고서에 따르면, 충남의 돼지구제역 NSP항체(양성반응) 검출 농가는 2015년 70호, 2016년 현재 124호였다. 연구진은 “논산시를 제외하고 NSP항체 검출지역과 돼지구제역 발생지역 간 지리적 유사성을 보였다”면서 “NSP항체 검출농가는 순환감염 우려가 있고 돼지구제역 바이러스 증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가의 백신접종 활동과 작업장 이동경로 관리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”고 설명했다.

현재 충남 전역에 설치된 통제초소 및 소독장소 등 차단방역시설은 총 53개소로 거점소독시설 43개소와 이동통제초소 10개소로 구성되어 있고, 일일 근무인원은 공공(공무원·군인·경찰) 152명, 민간(용역) 232명 등 총 38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.

연구진은 이번 정책지도는 향후 충남의 돼지구제역에 대비하여 효과적인 방역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전문가·행정·농가 등 다양한 분야의 종사자 간 협업을 통해 돼지구제역 방역 실태에 관한 정보생산과 자료가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.

한편 이번 돼지구제역 정책지도 시리즈는 지난 6월초 발간한 ‘충남 돼지구제역의 발생 특징 분석’에 이은 두 번째로써, 충남연구원은 곧 세 번째 정책지도 ‘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SOP기준 환경특성 분석’을 발표할 예정이다.

 

저작권자 © 국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