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단영역

본문영역

한미도 미사일 발사 '對北 무력시위'… 美 전략자산까지 부르나

  • 김수선 기자 010@kukmini.com
  • 입력 2022.05.25 14:43
  • 글씨크기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윤석열 대통령(가운데)이 25일 오전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를 주재하고 있다. (대통령실 제공) 2022.5.25/뉴스1 © News1 오대일 기자

(서울=뉴스1) 박응진 기자 = 25일 오전 강원도 동해안에서 한미 양국 군 미사일부대의 지대지미사일이 발사됐다.

북한의 이날 대륙간탄도미사일(ICBM) 등 미사일 연속 시험발사에 맞서 '북한의 도발원점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'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.

우리 군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와 6시37분·42분 등 3차례에 걸쳐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과 단거리탄도미사일 등을 1발씩 발사했다.

군 당국은 북한이 이날 쏜 첫 번째 미사일은 ICBM '화성-17형', 2~3번째 미사일은 '북한판 이스칸데르'로 불리는 단거리탄도미사일(SRBM) KN-23인 것으로 보고 있다.

북한이 이날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모두 핵탄두 탑재 목적으로 개발했거나 개발 중인 무기들이다.

특히 북한이 정상궤적으로 발사했을 경우 미 본토를 맞출 수 있는 ICBM, 그리고 우리나라 전역과 주일미군기지 등을 사정권에 둔 단거리탄도미사일을 섞어 쏜 것은 한미일 3국 모두를 겨냥한 무력도발로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.

이에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우리 군의 '현무-Ⅱ', 미군의 ATACMS 등 지대지미사일을 1발씩 동해상으로 발사했다.

한미 양국 군이 북한의 도발에 맞서 연합 미사일 사격훈련을 실시한 건 2017년 7월 이후 4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.

우리 군은 북한의 이날 미사일 발사에 앞서 24일엔 공군 F-15K 전투기 30여대가 무장한 채 활주하는 '엘리펀트 워크' 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.

합참은 "24일 오전에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 포착하고 대비해왔다"고 설명했다.

 

 

 

 

 

25일 북한이 탄도미사일 3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가운데 같은날 강원 강릉에서 우리 측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로 인해 생긴 것으로 보이는 구름띠가 상공에 노출돼 있다.(독자제공) 2022.5.25/뉴스1

 

 

미군도 최근 10여일 간 거의 매일 동해 상공에 공군 정찰기 RC-135S '코브라볼'을 출격시켜 대북 경계활동을 이어가고 있다.

코브라볼은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를 탐지하거나 그 궤적을 추적하는 임무에 특화된 정찰기로서 이날 오전에도 장시간 임무수행에 필요한 공중급유기와 함께 동해 상공에 전개됐다.

이런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은 미군 전략자산 전개를 포함, 북한의 이날 미사일 도발에 따른 추가적인 공동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.

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과의 통화에서 "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한 미 전락자산 전개 필요성을 강조했다"고 우리 국방부가 밝혔다.

한미 양국은 지난 2018년 북한 비핵화 관련 남북 및 북미대화가 진행되던 과정에서 '북한을 불필요하게 자극해선 안 된다'는 취지로 미군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를 사실상 중단했다.

그러나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이달 21일 열린 정상회담에서 미 전략자산의 적시 한반도 전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.

윤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 뒤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를 주재하면서도 한미정상 간 합의사항인 확장억제 실행력 제고와 연합방위태세 강화 등을 위한 실질적 조치를 이행할토록 지시했다.

추후 한미 간 협의에 따라 한반도 전개가 예상되는 미군 전략자산으론 B-52H '스트래토포트리스', B-1B '랜서', B-2 '스피릿' 등 공군 전략폭격기가 우선 거론된다.

또 북한군이 대공망으로 포착·공격하기 어려운 F-35 '라이트닝2' 스텔스 전투기를 탑재한 미 해군의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과 사거리 2500㎞에 이르는 순항미사일을 탑재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도 한반도 전개 가능성이 큰 미 전략자산들이다.

다만 미 전략자산의 적시 전개를 위해서는 한미 정상이 재가동하기로 한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(EDSCG) 등의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장 전개가 이뤄지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있다.

 

 

저작권자 © 국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